구분 | 분석 항목 | 세부 내용 |
---|---|---|
미생물 동정 | 제품(시료) 내 유효미생물(세균류)의 동정 | 일반세균, 방선균, 유산균, 광합성세균 등 |
제품(시료) 내 유효미생물(진균류)의 동정 | 곰팡이, 효모 등 | |
미생물의 염기서열 분석 | 16S rRNA, 18S rRNA, ITS region | |
미생물의 MIDI지방산 분석 | 새포벽 및 세포막에 포함된 지방산 분석 | |
미생물의 API Kit 분석 | 미생물의 생리학적 성질 분석 | |
미생물의 전자현미경(SEM) 촬영 | 미생물의 모양 및 표면 촬영 | |
전자현미경 CPD 전처리 | 미생물의 전자현미경 촬영시 안정화 진행 | |
미생물의 균주기탁 | Seq.(full) + -86℃ 보관 | |
미생물의 특허수탁 | 국가지정 자원은행에 특허미생물로 수탁진행 | |
보존균주의 대량배양 | 균주 활용시 대량 배양 | |
균체수 측정 | 시료의 미생물의 생균수 측정(cfu) | 일반세균, 효모 및 곰팡이 |
시료의 총생균수 측정(cfu) | 배지에 배양된 총생균수 계수 | |
시료의 병원성 미생물 측정 | 대장균 검출시험 | |
장출혈성 대장균 검출시험 | ||
황색포도상구균 검출시험 | ||
장염비브리오균 검출시험 | ||
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검출시험 | ||
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검출시험 | ||
바실러스 세레우스 검출시험 | ||
캠필로박터 검출시험 | ||
녹농균 검출시험 | ||
폐렴간균 검출시험 | ||
폐렴구군 검출시험 | ||
낙하균 시험 | 무균실 및 시험공간에 대한 오염도 분석 | |
미생물 한도 시험 | 담즙산저항성그람음성균 시험 (Bile-tolerant Gram-negative bacteria test) | |
향균활성실험 | 항균성(정성)분석 | 한천확산법(agar diffusion test)을 통한 clear zone 분석 |
항균도(정량)분석 | flask cultivation을 통한 항균활성 정량분석 | |
MIC 및 MBC 분석 | 희석감수성 분석을 통한 시료의 최저 항균활성 분석 | |
소독제 효력시험 | 소독제에 대한 살균력 분석 | |
외용소독제 효력평가 시험 | 외용소독제에 대한 살균력 분석 | |
항생제 감수성분석 | 희석법과 원판확산법을 통해 항생제 내성 분석 | |
항바이러스시험 | 항바이러스 활성분석 | Corona, Influenza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 평가 |
세포독성시험 | MTT assay 세포독성시험 | 시료에 대한 in vitro 독성 평가 |
특성평가 | 효소활성 시험 |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(Protease) |
섬유소 가수분해 효소(Cellulase) | ||
전분 가수분해 효소(Amylase) | ||
지질 가수분해 효소(Lipase) | ||
글루코 아밀라아제 활성 분석 | ||
proteinase K 활성 분석 | ||
항산화 활성 시험 | 전자 공여능, 환원력, SOD 유사활성 및 TBARS 측정을 통한 활성 분석 | |
나토키나제 활성 시험 | 시료에 포함된 나토키나제의 활성 분석 | |
일반분석 | 성분분석 | 조지방 분석 |
조단백질 분석 | ||
조섬유 분석 | ||
라이코펜 분석 | ||
커큐민 분석 | ||
베타글루칸 분석 | ||
탄닌 분석 | ||
콜라겐 분석 | ||
비타민 분석 | ||
진세노사이드 분석 | ||
조사포닌 분석 | ||
수분 분석 | ||
조회분 분석 | ||
플라보노이드 분석 | ||
유효성 평가 | Calprotectin 정량분석 | 장염증 수치 분석 |
단쇄지방산(SCFAs) 정량분석 | 장내 유용물질인 단쇄지방산 분석 | |
β-glucuronidase 활성분석 | β-glucuronidase 감소를 통한 유효성 분석 | |
pH 정량분석 | 장내 pH 변화 분석 | |
Zonulin 정량분석 |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정량분석 | |
α1-antitrypsin 정량분석 |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정량분석 | |
Secretory IgA 정량분석 |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정량분석 | |
β-defensin-2 정량분석 |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정량분석 | |
lactulose/mannitol ratio 분석 | lactulose와 mannitol의 정량분석을 통한 비율 분석 | |
연구성 의뢰 | 시료 내 유효미생물의 탐색 | 1가지 배지(1종류의 미생물 탐색) 사용시, 우점 미생물 유전자 분석 |
시료 내 다양한 우점 미생물의 탐색 | 다양한 배지(모든 미생물 탐색) 사용시, 우점 미생물 유전자 분석 | |
시료 내 호기성미생물의 존재 유무확인 | 세균과 진균(NA와 PDA)으로 나눔. | |
아미노산 분석 | 구성아미노산(PH)과 유리아미노산(PF)의 정량분석 | |
유기탄소 분석 | TC, IC, TOC, NPOC 함량 분석 | |
유기 화합물 분석 | C, H, N, S, O 정성 및 정량 분석 | |
무기원소 분석 | 시료를 구성하고 있는 70여종의 무기원소 정성, 정량분석 | |
중금속 분석 | 시료 내 중금속 정량분석 | |
미네랄 분석 | 시료 내 미네랄 정량분석 | |
시료의 질량분석 | 환경, 임상의학, 식품, 석유화학, 화학 등의 분야의 미량분석 (정성 및 정량) | |
음용수 또는 폐수분석 등 | ||
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정성, 극미량 정량분석 및 분자량 측정 | ||
시료 내 분자, 결정, 비결정성 물질 분석 | 화합물의 구조, 자기적 성질 또는 다른 화학적 성질 분석 | |
시료 내 성분 분석 | 정밀화학 분야 : 합성물, 부산물 성분 분석 | |
고분자 분야 : 고분자 첨가제, 합성 부산물 분석 | ||
환경 분야 : 농약성분 및 음용수, 폐수, 폐기물에 포함된 유기물 분석 | ||
식품 분야 : 비타민, 당류, 잔류 농약, 항생/항균제, 환경 호르몬 성분 분석 |
분석/연구용역 진행절차
분석/연구용역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의뢰자와 수행자간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한 실험계획(Design of experiment)의 수립입니다.
검토 전, 담당 전문가와 충분한 협의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분석/연구용역 문의 : 070-5029-1376
시료송부 주소 | (34946)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 28번길6 한국의과학연구원 분석센터담당자 앞 |
---|---|
분석/연구용역 문의 | 070-5029-1376 |
FAX | 042-716-2309 |
이메일 | outer@kribs.re.kr |
대표전화 : 042-716-2310 메일문의 : kribs@kribs.re.kr AM 9:00 ~ PM 6:00 토요일 / 일요일 / 공휴일 휴무
회원가입